▲ 자료사진 정기훈 기자

4·16세월호참사 특별조사위원회(위원장 이석태)가 지난 2일 서울 마포구 연세대 김대중도서관에서 이틀째 진행한 제3차 청문회에 증인 12명 전원이 출석을 거부하고 나타나지 않았다. 특별조사위 힘 빼기가 가관이다. 증인 없이 이어진 청문회에서는 정부가 세월호 참사 피해자를 범죄자로 취급하고, 온전한 인양 약속도 지키지 않았다는 성토가 쏟아졌다.

“두 달에 한 번 휴대전화 통화내역 사찰당해”

이날 청문회에서는 경찰이 피해자를 보호하기보다 감시에 열을 올렸다는 참고인들의 증언이 잇따랐다. 경찰이 세월호 참사 뒤 사복차림으로 다니며 가족들을 감시하더니, 지금까지 사찰을 계속하고 있다는 것이다. 서해지방해양경찰청 정보수사과 상황보고서에는 가족대표 13명 중 밀양송전탑 시위가담자 등 5~6명이 강성이라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 당시 가족대표 중 한 명이었던 전명선씨는 “순수한 피해가족들을 그런 식으로 구분한 것은 피해자를 감시하고 국민으로부터 고립시키려는 의도”라며 “(4·16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인) 저는 지금까지도 두 달에 한 번꼴로 휴대전화 통화내역을 경찰로부터 조사당한다”고 폭로했다.

정부와 경찰의 사태 초기대응 문제점을 지적하는 목소리도 높았다. 단원고 희생자 박성호군 엄마 정혜숙씨는 “해경이 처음에는 배와 헬기를 제공하겠다고 하더니 나중에 말을 바꿨다”며 “가족들이 민간어선과 민간잠수사를 구해 사고현장으로 갔다”고 회고했다. 전명선씨는 “참사 초기에 팽목항과 진도체육관, 사고해역 어디에서도 경찰이나 정부의 안내나 정보를 들을 수 없었다”고 비판했다.

정작 해명을 해야 할 당사자들은 이날 증언대에 서지 않았다. 특별조사위는 참사 당시 전남지방경찰청장이었던 정순도씨를 비롯해 김석균 전 해양경찰청장·최동해 전 경기지방경찰청장·강신명 전 서울지방경찰청장·구은수 전 서울지방경찰청장을 비롯한 8명을 증인으로 지명했지만 이들은 모두 출석하지 않았다.

천공 113개 뚫었는데 34개 추가로 뚫겠다는 해수부

세월호 인양 지연과 선체 훼손 등 인양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과 인양 뒤 선체 보존대책이 사실상 없다는 지적도 이어졌다. 장완익 특별조사위원은 “해양수산부는 지난해 인양 일정이 올해 7월 이전이라고 했다가 올해 4월에는 7월 말이라고 했고 이제는 9월 말이라고 한다”며 “인양작업에 대한 공정표도 없다고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선체 훼손 문제도 심각하게 제기됐다. 권영빈 특별조사위원은 “해수부가 세월호 선체에 천공을 113개나 뚫어 놓은 상태인데, 선체 하부 탱크 부분에 추가로 구멍 34개를 뚫겠다고 한다”며 “현재 인양된 선체를 올려놓을 플로팅 독(Floating Dock)에 문제가 있어 일부러 시간을 지연시키려는 의도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했다.

비공개 참고인으로 출석한 선체인양 전문가는 “애초 유기준 전 해수부 장관이 약속한 대로 세월호를 온전히 인양한 뒤 미수습자를 수습하고 선체는 국가기념물로 삼을 줄 알았다”며 “해수부가 최악의 상황으로 나아가고 있다”고 우려했다.

한편 해수부 세월호인양추진단 소속 연영진 단장·김현태 부단장·장기욱 인양추진과장과 류찬열 코리아쌀베지㈜ 대표 등 증인 4명도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