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비정규 노동자들이 파업 준비에 거침이 없다. 세 곳의 학교비정규직노조가 참여하는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는 29일부터 이틀간 파업을 한다고 예고한 상태다.

연대회의는 21일 서울 정동 민주노총 13층 대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달 22일부터 이달 20일까지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한 결과 11개 지역 조합원 89%가 파업에 찬성했다"고 밝혔다. 찬반투표에는 조합원 5만8천479명 중 4만6천214명이 참여했고, 4만1천156명이 찬성표를 던졌다. 광주·대구·경북지역을 비롯한 6개 지역은 23일까지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마무리한다. 연대회의는 “파업을 결의한 노동자들이 지역별로 총파업에 참여한다”고 설명했다. 연대회의에는 학교비정규직노조와 공공운수노조 전국교육공무직본부·전국여성노조가 참여하고 있다.

연대회의는 올해 초부터 시·도 교육청별로 근속수당·급식비·명절상여금·정기상여금·맞춤형 복지포인트 차별 해소를 요구하며 교섭을 시작했다. 연대회의는 “모든 교육청은 기본급 3.5% 인상안을 제시하기만 할 뿐 노조 요구안은 단 한 가지도 수용하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올해 임금교섭 핵심요구는 근속에 따른 수당 인상이다. 연대회의 관계자는 "10년차 공무원 임금이 93만원 오를 때 학교비정규직 임금은 17만원만 오른다"며 “일을 하면 할수록 정규직과의 임금차별이 심해질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했다. 연대회의는 “근속에 따른 수당을 2년차부터 1년에 5만원씩 인상하라”고 요구했다. 현재 학교비정규직은 장기근무 가산금으로 근속 3년이 되면 월 5만원을 받는다. 4년차부터 1년에 2만원씩 더 받는다.

연대회의는 교육공무직의 채용 및 처우에 관한 법률을 제정해 학교 비정규 노동자들의 임금·처우 개선책을 마련하라고 주장했다. 안명자 교육공무직본부장은 “임금체계나 처우개선 체계를 지역에서 바꾸는 것은 한계가 있다”며 “정부가 교육공무직 직제를 신설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대회의는 7월 또는 9월에 2차 총파업을 계획하고 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