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확산하면서 버스업계도 직격탄을 맞았다. 버스운행이 급감하면서 버스노동자 임금손실도 우려된다. 노동계는 “정부 차원에서 특별지원 대책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19일 자동차노련은 “코로나19 위기경보가 경계로 격상된 지 20여일이 됐지만 지금까지도 버스노동자에게 마스크와 손소독제를 지급하지 않는 버스회사가 있다”며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버스노동자 노동조건 저하 방지와 안전대책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전국버스운송사업조합연합회가 지난달 28일부터 이달 11일까지 교통카드 사용 데이터 등을 이용해 수송실적을 분석한 결과 승객이 고속버스는 평소 대비 36.2%, 시외직행버스는 27.1%, 시내버스는 15.6%가량 감소했다. 운송수입금으로 따지면 분석 대상 기간인 15일간 고속버스는 102억원, 시외직행버스는 132억원의 손실을 봤다. 시내버스는 이보다 세 배 가까이 많은 312억원의 운송수입이 감소했는데 서울은 62억원, 경기도는 100억원대 손실을 기록한 것으로 추산됐다.

버스운행수입 감소는 버스노동자 임금 감소와 직결된다. 당장 이달 중순께 지급되는 급여부터 버스 감차·감회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이미 무급휴직을 예고한 버스회사도 있다. 금호고속은 지난 17일 비상경영 차원에서 임원 급여를 20% 삭감하고 사무직만 대상으로 하던 단기 무급휴직 신청을 승무직과 기술직까지 확대한다고 밝혔다. 코로나19 확산으로 버스 이용객이 줄어든 탓이다. 금호고속이 주로 발착하는 광주종합터미널의 경우 주말 고속버스 이용승객이 평균 7천400여명에서 절반 수준인 3천800여명까지 줄어든 것으로 알려졌다. 금호고속처럼 버스운행 감소를 이유로 무급휴직을 실시하거나, 버스기사가 최근 동남아국가 여행을 다녀왔다는 이유만으로 자택대기를 시키는 사례도 나타나고 있다. 연맹은 “버스 이용률 급감을 이유로 사용자들이 버스운행 횟수를 줄이고, 근무일에 따라 임금을 받는 버스노동자들은 갑작스러운 임금 감소로 생계 위협에 시달리고 있다”고 밝혔다.

버스노동자들은 바이러스 노출을 걱정하고 있는 상황이다. 연맹 관계자는 “노선버스는 1일 평균 1천500만명이 이용하는 교통수단인데 일부 회사는 마스크와 손소독제조차 지금까지 지급하지 않고 있다”며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방역 물품이 조속히 지급되도록 행정감독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정부 차원의 재정 지원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노선버스 승객 감소로 타격을 받은 버스운수업이 정상화하고 버스노동자 생활안정을 위해 유료도로 통행료를 한시적으로 면제하거나 재정지원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정부는 지난 17일 항공업계에 3천억원 규모의 지원 대책만 발표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