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의 상생형 지역일자리 모델인 광주형 일자리가 좌초 위기를 맞았다. 한국노총 광주본부는 당초 예고한 대로 이달 초 청와대 앞에서 광주형 일자리 사회적 합의 파기선언을 할 예정이다.

한국노총은 1일 “광주형 일자리는 이제 더는 상생의 일자리 모델이 아니다”며 “한국노총 광주본부의 광주형 일자리 파기선언은 청년일자리와 지역일자리를 연계해 경제 공동체를 이루기 위한 희망이 무너졌음을 뜻한다”고 밝혔다. 노동계가 요구한 적정임금과 적정 노동시간, 원·하청 상생방안, 노동이사제를 통한 노사책임 경영 같은 지역 상생형 일자리의 기본원칙이 무너진 이상 광주형 일자리가 아닌 현대차 하청공장 일자리만 남았다는 주장을 펼쳤다.

지난해 8월 한국노총 광주본부가 광주글로벌모터스 출범식에 불참하면서 광주형 일자리 파행은 예고됐다. 광주글로벌모터스가 노동이사제 도입을 반대하고 노동계가 ‘반노조 성향 인사’라며 불신하는 박광식 이사를 임명하면서 벌어진 일이다. 같은해 10월 한국노총 광주본부는 “원·하청과 지역사회 상생방안 수립 등 다섯 가지 노동계 요구가 무시되고 있다”며 광주형 일자리 노사민정협의회에서 아예 빠졌다. 이후 5개월이 지나도록 광주시는 아무런 해법을 내놓지 않았다. 한국노총 광주본부는 ‘파기선언’ 카드를 꺼내들 수밖에 없었다.

한국노총은 “광주형 일자리 실패를 가슴 아프게 받아들인다”며 “이번 사태가 앞으로 지역경제 발전과 청년일자리를 만드는 데 기업, 중앙정부와 지역정부에 뼈저린 각성의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